본문 바로가기
일상

독감

by luvsphere 2025. 1. 14.
반응형

열이 오르는 느낌인데, 약 먹으면 괜찮겠지 라는 생각에 감기약을 한포 털고 잤다. 
아침에 일어나니 몸이 천근만근에 열이 나고 있었다. 
병원을 가서 진료를 보는데, 의사선생님이 독감 검사 할지 물어보는데, 괜찮다고 했다. 
(결론적으로 이때.. 검사를 받았어야 했다;;;;) 
약을 먹어도 열은 내리지 않고, 밤새 40도에 가까운 고열에 시달렸다. 
아이와 함께 잠을 자는데, 혹시라도 옮을까봐 마스크를 끼고 등을 돌려 잤지만.. 
아침이 되자마자 바로 병원을 갔고, 독감 검사를 했다.
코로나 검사 이후 두번째 콧구멍 쑤심, 진짜 코에서 피맛이 났다.
A형 독감 확진!! 아.. 곧 유치원에서도 연락이 오겠구나 
티비에서나 보던 그 유행하던 독감이 우리 집으로 왔다. 

 

A형 독감은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전염성이 높고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A형 독감의 주요 증상

갑작스러운 고열: 38~41℃의 고열이 발생하며, 해열제를 복용해도 쉽게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전신 증상: 두통, 피로감, 근육통 및 관절통 등 심한 몸살 증상이 나타나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이다. 이러한 증상은 초기 2~3일 동안 가장 심하며, 이후 호전된다.
호흡기 증상: 기침, 인후통 등 호흡기 증상은 전신 증상이 호전될 때 나타나며, 일부 환자에서는 기침이 1주 이상 지속되면서 흉통을 동반하기도 한다.
기타 증상: 재채기, 코막힘, 콧물 등이 동반될 수 있다.
A형 독감의 치료 방법

휴식 및 수분 섭취: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중요하다.

증상 완화제: 발열과 통증 완화를 위해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이나 이부프로펜 등의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소아와 청소년에게는 라이 증후군의 위험이 있으므로 아스피린은 피해야 한다.

항바이러스제: 증상 발현 후 48시간 이내에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경구용)나 페라미플루(주사제)를 투여하면 증상 완화와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격리 및 전염 방지: 전염성을 고려하여 증상 발생 후 최소 5일간은 자가 격리를 권장하며, 기침 예절과 손 씻기 등 개인 위생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최근 A형 독감 유행 현황

2024년 12월 중순부터 A형 독감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통계에 따르면, 2024년 51주차(12월 15~21일) 기준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수가 1주 만에 2.3배로 증가하였다. 
또한, 2024년 12월 30일 기준으로 전국에 '독감 유행주의보'가 발령되었으며, 특히 13~18세 연령층에서 발생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예방 및 주의사항

예방접종: 독감 백신 접종은 A형 독감 예방에 효과적이므로, 매년 접종을 권장합니다.

개인 위생: 손 씻기, 마스크 착용, 기침 예절 준수 등 개인 위생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면역력 강화: 균형 잡힌 식사와 충분한 수면으로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 독감에 걸리니 감기와는 차원이 다른 아픔이었다. 
고열이 거의 하루동안 길게는 이틀동안 지속되고, 너무 아프다. 온몸이 두들겨 맞은 듯 심한 몸살이 동반된다. 
아이도 점심 시간 이후로 열이 나더니, 역시나 A형 독감 확진 
이렇게 또 집콕 생활이 시작되었다. 
나는 확진받고 수액으로 타미플루를 맞고 싶었는데, 내가 갔던 병원에는 없는 듯했다
여기서 팁을 드리면, 꼭 수액으로 맞으시길!!!!!!!!!!!!!!!!!
빠르기도 하지만, 약으로 타미플루 복용하다가 속이 다 뒤집어져서 아직도 속이 울렁댄다. 
타미플루 대표적인 부작용이 속 울렁거림, 두통이었고, 아이들은 환청이나 환각 증세도 드물게 발생한다고 했다. 
나는 약 때문에 입덧을 다시 겪는 기분이었다. 빈속에도 울렁, 밥 먹으면 토할 것 같아서, 
약 처방받은 지 셋째 날에는 약국에 전화를 했더니, 부작용이니 그만 먹으란다. 
진작 전화해 볼걸.. 처방받은 약 먹고 불편하면 꼭 해당 약국에 전화해서 물어보자
지금은 가래와 잔기침만 남았다. 아니, 아직도 속이 계속 불편하다. 언제쯤 다시 좋아질까.
돌아오는 겨울에는 무슨 일이 있어도 독감 예방접종을 해야겠다.
예방접종한다고 독감이 안 걸리는 건 아니지만, 증상이  덜하게 지나간다고 한다.
독감 예방접종한 아이와 나의 증상만 봐도 그런 것 같다. 
손 열심히 씻고, 마스크 꼭 하고, 물 자주 마시면서 남은 겨울은 건강히 보내고 싶다.
 
 
 

반응형